
💉 2025-2026 코로나19·독감 예방접종 완벽 가이드 | 고위험군 무료접종 일정과 온라인 예약 방법
접종 대상부터 일정, 동시접종 방법, 온라인 예약까지 알차게 담았으니 끝까지 읽어보세요 😊
🎯 고위험군이란? 무료 접종 대상 확인하기
먼저 무료 접종을 받을 수 있는 고위험군이 누구인지 확인해볼까요? 코로나19와 독감에 감염되면 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은 분들을 말해요.
코로나19 고위험군 (무료 접종 대상) 2025-2026
- 65세 이상 어르신 (1960년 12월 31일 이전 출생)
- 면역저하자 (생후 6개월 이상)
- 감염취약시설 입원·입소자 (요양원, 요양병원 등)
인플루엔자 고위험군 (무료 접종 대상)
- 어린이 (생후 6개월~13세, 2012.1.1~2025.8.31 출생)
- 임신부 (임신 주수 무관)
- 65세 이상 어르신 (1960년 12월 31일 이전 출생)
💡 동시접종 가능!
65세 이상 어르신들은 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를 동시접종할 수 있어요! 한 번 병원 방문으로 두 가지 백신을 모두 맞을 수 있어서 정말 편리하답니다.
📅 2025-2026 코로나19 예방접종 일정 NEW
올해부터 시작되는 2025-2026절기 코로나19 예방접종 일정을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접종 기간
2025년 10월 15일 ~ 2026년 4월 30일
사용 백신: 모더나(LP.8.1) 또는 화이자(LP.8.1) 백신
접종 횟수: 기본 1회 접종
※ 기초접종 미완료한 12세 미만 고위험군은 기초접종 완료 필요
연령 구분 | 출생 연도 | 접종 시작일 |
---|---|---|
75세 이상 | 1950.12.31 이전 | 2025년 10월 15일(수) |
70~74세 | 1951.1.1~1955.12.31 | 2025년 10월 20일(월) |
65~69세 | 1956.1.1~1960.12.31 | 2025년 10월 22일(수) |
면역저하자 | 생후 6개월 이상 | 2025년 10월 15일(수) |
감염취약시설 입원·입소자 | - | 2025년 10월 15일(수) |

📅 2025-2026 인플루엔자(독감) 예방접종 일정
독감 예방접종은 대상별로 시작일이 다르니 꼭 확인하세요!
어린이 (생후 6개월~13세)
- 2회 접종 대상: 2025년 9월 22일(월)부터
(과거 접종력이 없거나 1회만 접종한 6개월~9세 미만) - 1회 접종 대상: 2025년 9월 29일(월)부터
(2회 접종 대상 외 어린이) - 종료: 2026년 4월 30일
임신부 (임신 주수 무관)
- 시작: 2025년 9월 29일(월)
- 종료: 2026년 4월 30일
- 준비물: 산모수첩 또는 임신확인서
65세 이상 어르신 (1960.12.31 이전 출생)
- 75세 이상: 2025년 10월 15일(수)부터
- 70~74세: 2025년 10월 20일(월)부터
※ 2구간부터는 70세 이상이면 접종 가능 - 65~69세: 2025년 10월 22일(수)부터
※ 3구간부터는 65세 이상이면 접종 가능 - 종료: 2026년 4월 30일
⚠️ 올해부터 달라진 점!
인플루엔자 백신이 기존 4가에서 3가 백신으로 전환되었어요. WHO 권고사항에 따른 변경으로, 예방효과는 동일하니 안심하고 접종받으세요!
💊 동시접종, 안전하고 편리해요!
"두 가지 백신을 한꺼번에 맞아도 괜찮을까?" 걱정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안전합니다!
65세 이상 어르신의 경우 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 동시접종을 적극 권장하고 있어요. 여러 연구 결과 동시접종이 안전하고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거든요.
동시접종의 장점
- ✅ 병원 한 번 방문으로 두 가지 백신 완료
- ✅ 시간과 비용 절약
- ✅ 안전성과 효과 입증됨
- ✅ 올겨울 중증 감염병으로부터 완벽하게 보호
동시접종 시에는 각각 다른 팔에 접종하거나, 같은 팔에 맞더라도 2.5cm 이상 떨어뜨려서 접종하게 됩니다.
🏥 접종 장소와 준비물
전국 어디서나 무료 접종 가능!
주소지와 관계없이 전국 약 2만 3천 개 위탁의료기관과 보건소에서 무료로 접종받을 수 있어요.
⚠️ 중요! 접종 전에는 반드시 해당 의료기관에 전화로 백신 보유 여부를 확인하고 방문하세요!
준비물 체크리스트
-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건강보험증 등)
- 임신부: 산모수첩 또는 임신확인서
- 면역저하자: 의료기관 진단서 또는 소견서
- 감염취약시설 입소자: 시설 입소 확인서
🔍 가까운 접종 기관 찾기 & 온라인 예약
가장 편리한 방법은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을 이용하는 거예요!
접종 기관 찾는 방법
-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 접속 (https://nip.kdca.go.kr)
- '예방접종관리' 메뉴 클릭
- '지정의료기관 찾기' 선택
- '2025-2026절기 코로나19 예방접종' 또는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선택
- 주소 입력 → 가까운 병원 목록 확인!
💡 전자예진표 미리 작성하기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에서 전자예진표를 미리 작성할 수 있어요! 병원에서 기다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답니다.
-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 접속
- '예방접종관리' > '전자민원서비스'
- '예방접종 예진표' 작성
- 작성 당일에만 유효하니 방문 당일 작성하세요!
⚠️ 접종 전후 주의사항
접종 전
- 몸 상태가 좋은 날 접종하세요
- 열이 있거나 급성 질환이 있으면 회복 후 접종
- 과거 백신 접종 후 중증 알레르기 반응이 있었다면 의료진에게 반드시 알리기
접종 후
- 20~30분간 접종 기관에 머물며 이상반응 관찰 (필수!)
- 귀가 후 충분한 휴식
- 접종 부위 청결 유지 (문지르지 않기)
- 접종 당일 무리한 운동, 음주 피하기
흔한 이상반응 (대부분 1~2일 내 호전)
- 접종 부위 통증, 붓기, 발적
- 미열, 피로감, 근육통, 두통
이러한 증상은 정상적인 면역 반응이에요. 하지만 증상이 심하거나 며칠 이상 지속되면 접종받은 의료기관이나 관할 보건소에 문의하세요!
접종을 하면 안 되는 경우
- 과거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아나필락시스 등 중증 알레르기 반응이 있었던 경우
- 백신 성분(PEG 등)에 중증 알레르기 반응이 있었던 경우
접종을 연기해야 하는 경우
- 발열 등 급성 질환이 있는 경우 (증상이 없어질 때까지)
-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심근염·심낭염이 발생했던 경우
💪 매년 접종이 중요한 이유
"작년에 맞았는데 또 맞아야 하나요?" 라고 물으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네, 매년 맞아야 해요!
이유는 간단해요
-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매년 나타나요
- 백신 효과가 3~6개월 정도로 짧아요
- 고위험군은 중증화·사망 위험이 높아요
특히 65세 이상 어르신, 만성질환자, 면역저하자, 어린이, 임신부는 코로나19나 독감에 걸리면 입원이나 사망으로 이어질 위험이 훨씬 높습니다. 예방접종은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과 주변 사람들을 보호하는 일이에요!
📞 문의처
- 질병관리청 콜센터: 1339
- 예방접종도우미: https://nip.kdca.go.kr
- 관할 보건소: 지역번호 + 120
올겨울을 건강하게 보내기 위해 지금 바로 가까운 병원에서 예방접종 받으세요!
특히 65세 이상 어르신들은 10월 15일부터 코로나19와 독감 백신을 동시에 맞을 수 있으니 놓치지 마세요!
우리 모두의 건강한 겨울을 응원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