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에너지바우처는 6월 9일~12월 31일 신청, 7월 1일~내년 5월 25일 사용입니다. 소득기준(기초생활보장 급여 수급)과 세대원 특성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하며, 하절기=요금차감, 동절기=요금차감 또는 국민행복카드 중 선택합니다. 잔액조회·자주 틀리는 포인트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1) 올해 달라진 핵심 타임라인
- 신청기간: 2025. 6.9 ~ 12.31
- 사용기간: 2025. 7.1 ~ 2026. 5.25 (하절기 7.1~9.30 / 동절기 10.1~5.25)
- 동절기 실물카드는 10.13부터, 가상카드(요금차감)은 10.1부터 사용
2) 누가 받을 수 있나? (신청자격 체크리스트)
두 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① 소득기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생계·의료·주거·교육 급여 수급자. ② 세대원 특성기준: 노인, 영유아, 등록 장애인, 임산부, 중증·희귀·중증난치질환자, 한부모가족, 소년소녀가정 중 1명 이상 포함.
※ 동절기에는 연탄쿠폰·긴급복지 연료비와 중복 수급 불가
3) 어떻게 쓰나? (요금차감 vs 국민행복카드)
- 하절기(7~9월): 요금차감만 선택 가능(전기요금 자동 차감)
- 동절기(10~5월):
- 요금차감: 전기·도시가스·지역난방 중 1개 선택
- 국민행복카드: 등유·LPG·연탄 등 연료 구입형
- 하절기 미차감 설정 시 동절기에 몰아서 사용 가능
4) 신청 절차와 준비물
- 자동신청: 전년도와 정보변동 없고 자격 유지 시 자동 반영
- 신규/재신청: 이사·세대원 변동 등이 있으면 관할 행정복지센터 방문(대리신청 가능)
- 준비물: 신분증, (요금차감 시) 최근 요금고지서, 수급·세대원 확인 서류 등
- 주의: 시스템 일시 중단 기간이 있어 마감 임박 신청은 피하기
5) 잔액조회와 사용 마감
공식 홈페이지 잔액조회 메뉴에서 성명·생년월일·주소로 확인(사용기간 중 가능). 사용기간 종료 후 잔액은 소멸하므로 동절기 종료 전 반드시 사용하세요.
6) 한 줄 요약 & 선택 팁
전기·도시가스·지역난방 위주면 요금차감, 등유·LPG·연탄 위주면 국민행복카드가 유리합니다. 여름 사용 계획이 없다면 하절기 미차감으로 겨울에 집중 사용하는 전략도 좋습니다. 신청은 12.31까지, 사용은 5.25까지—기간만 지키면 혜택은 놓치지 않습니다.
반응형